목록구강병리 (2)
인턴 마세터의 치과병원 생활기
치과대학 치대 치대생 본과 본2 1학기 구강 병리 병리학 1. Congenital epulis Congenital epulis 의 특징은 안쪽의 기질을 막이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라는 점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왼쪽에 분홍색으로 보이는 것이 막으로, 막은 온정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계란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Epulis fissuratum Epulis fissuratum 을 보는 기준은 막입니다. 웬만하면 막의 rete peg 부분 인근에는 염증세포가 존재하지 않죠. 그러나 Epulis fissuratum 의 막 근처에는 염증세포가 매우 많이 존재합니다. 염증세포가 도대체 뭐냐고 하실 분이 계실텐데요, 염증세포는 보라색의 점점입니다. 3. Dilantin Gingival hyperplasia 간..
치과대학 치대 치대생 본과 본2 1학기 구강 병리 병리학 일반 병리를 넘어서... 오늘은 구강 병리 슬라이드 공부 시간입니다. 1. Ameloblastoma Ameloblastoma는 follicle formation type, plexiform type, acanthoma type, basal cell type, granular cell type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ㅠㅠ Ameloblastoma를 익히는 방법은 눈으로 최대한 많은 사진들을 보는 것입니다. 제 사진들 뿐만 아니라 구글링을 통해서 많은 사진들을 접해보세요. 2. Ameloblastic Fibroma Ameloblastic Fibroma는 Ameloblastoma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저 가운데 보라색이 보이시나요? 이것의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