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레진 (2)
인턴 마세터의 치과병원 생활기
레진이란 중합되는 물질인데, 중합되면서 수축이 일어납니다. 접착된 면이 아무데도 없으면 중앙을 향해서 한점으로 일어납니다. 근데 접착되있다면? 접착된 쪽으로 당겨지면서 수축이 일어나죠. 즉 치관쪽 교두(Cusp)는 모아지니 그 아래쪽은 벌어지게 되는 겁니다. 그러면 어떻게 될까요? 그림 엄청 이상하죠 ㅎㅎ 이해해주세요 좀 과장되게 그렸습니다. 색칠한 부분이 레진입니다. 수축이 일어나 윗부분이 당겨지면 아래쪽은 벌어지겠죠. 레진이 파절될 정도로 큰 힘이 가해지진 않지만, 그로 인해서 틈이 생겼습니다. 또한, 우리 치아는 상아세관(Dentinal tubule)이라는 구조물이 존재합니다. 가장 널리 인정되는 유체역학설에 의하면, 상아세관에 가해지는 자극에 의해 상아질 지각과민 등이 발생합니다. 이 시린거 말하..
아말감 하면 보통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실까요? 수은을 함유하고 있어 재료에 독성이 있다고 바로들 꺼려하시겠죠? 하지만 그 양이 지극히 미세하고 지금 나온 역학조사 논문에 따르면 이에 부작용을 입은 사람들은 거의 없으니 결론적으로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심미적으로 매우 보기 안좋죠.. 게다가 아말감은 시간이 지나면 부식 때문에 착색이 일어납니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에서 파절될 위험성 또한 다분히 존재합니다. 또한 아말감은 치질과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유지를 얻어야 합니다. 그에 따라서 치질 삭제량이 많아지죠. 단점을 나열하려면 끝도 없으니 오늘의 주제인 Class I Cavity 에서의 레진과 아말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위 사진에서 맨 왼쪽 치아(즉 제 2 대구치)를 충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