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7)
인턴 마세터의 치과병원 생활기
2019-2-22 의료인 면허 발급용 서류 3개(의사진단서 + 졸업 증명서 + 면허 신청서) 우체국 등기로 발송 2019-2-25 우체국 등기번호 확인해보니 도착했다고 떴으나 국시원 홈페이지에는 아직 서류 미접수로 떴었습니다. 2019-2-25 국시원에 전화했으나... ㅋㅋㅋ 여기도 2~3월에 면허 발급 신청이 엄청 밀린다는데 전화도 안받고 끊어버리기도 하고 난리도 아니었네요. 사무직 직원들도 직원들이지만 상담사분들도 참 고역이었겠어요. 어쨌든 이 때는 도착한 서류가 전산 상에 등록되는데 1주일이나 걸린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2019-2-27 퇴근하고 심심해서 국시원 홈페이지 조회해보니 일사천리로 진행되어서 면허증 발급 란에 "보건복지부에 발급신청되었습니다"(?) 라고 떴었습니다. 2019-3-1 드디어..
의료인 면허/자격증 발급용 의사 진단서 서식
내과 등에서 시행하는 의료인 면허 발급용 의사 진단서 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력검사 2. 색약검사 3. 청력검사 4. 뇨검사 5. 혈액검사 6. 심전도검사 7. 흉부 X-ray 8. 키, 몸무게, 허리둘레 위의 검사들을 시행하고 2~4일 뒤면 검사 결과가 나오는데요, 보통 이 날 의사 선생님과 상담을 거친 뒤에 진단서가 나오게 됩니다. 검사항목은 위와 같이 저렇게 많지만 설명만 의사선생님께 듣고 정작 인쇄되어 나오는 진단서에는 전혀 안 써있으니 잘 기억해놓으세요 ㅋ.ㅋ 정작 해봐야 B형 간염 항체 유무 정도입니다. 어쨌든 진단서를 받고 난 후 주의하셔야 할 게 있습니다. 필히 확인을 하셔야하는 것 말입니다. 우리가 받는 의사진단서의 정식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강진단서(국가시험면허신청용..
#치대생 #치과의사 #면허발급 #의료인 #진단서 #의료법 #국시원 #국가고시 하아... 이제 합격자 발표도 났으니 의료인 면허를 발급받아야하는데 면허 발급에는 다음 서류가 필요합니다. - 졸업 증명서 > 졸업예정증명서 안되요! 졸업식 이후에 발급 가능합니다. - 면허증 교부 신청서 > 국시원 홈페이지에서 발급 가능 - 의사진단서 > 의료법에 따라 의료인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음을, 즉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 정신건강복지법) 제3조제1호에 따른 정신질환자, 마약·대마·향정신성의약품 중독자가 아님" 이라는 문구가 포함된 진단서가 필요합니다. 어디서 발급해주는지 안내도 없고... 답은 발품 팔듯이 계속 전화 돌렸습니다. 1. 베스티안병원 > 발급가능, 당일 발급 불가..
레진이란 중합되는 물질인데, 중합되면서 수축이 일어납니다. 접착된 면이 아무데도 없으면 중앙을 향해서 한점으로 일어납니다. 근데 접착되있다면? 접착된 쪽으로 당겨지면서 수축이 일어나죠. 즉 치관쪽 교두(Cusp)는 모아지니 그 아래쪽은 벌어지게 되는 겁니다. 그러면 어떻게 될까요? 그림 엄청 이상하죠 ㅎㅎ 이해해주세요 좀 과장되게 그렸습니다. 색칠한 부분이 레진입니다. 수축이 일어나 윗부분이 당겨지면 아래쪽은 벌어지겠죠. 레진이 파절될 정도로 큰 힘이 가해지진 않지만, 그로 인해서 틈이 생겼습니다. 또한, 우리 치아는 상아세관(Dentinal tubule)이라는 구조물이 존재합니다. 가장 널리 인정되는 유체역학설에 의하면, 상아세관에 가해지는 자극에 의해 상아질 지각과민 등이 발생합니다. 이 시린거 말하..
아말감 하면 보통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실까요? 수은을 함유하고 있어 재료에 독성이 있다고 바로들 꺼려하시겠죠? 하지만 그 양이 지극히 미세하고 지금 나온 역학조사 논문에 따르면 이에 부작용을 입은 사람들은 거의 없으니 결론적으로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심미적으로 매우 보기 안좋죠.. 게다가 아말감은 시간이 지나면 부식 때문에 착색이 일어납니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에서 파절될 위험성 또한 다분히 존재합니다. 또한 아말감은 치질과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유지를 얻어야 합니다. 그에 따라서 치질 삭제량이 많아지죠. 단점을 나열하려면 끝도 없으니 오늘의 주제인 Class I Cavity 에서의 레진과 아말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위 사진에서 맨 왼쪽 치아(즉 제 2 대구치)를 충전해 ..
보통 인터넷에서 치과 관련 정보를 많이들 찾아보시겠죠? 대부분이 아마 개원 치과에서 홍보를 위한 글일테고 정작 제대로된 정보는 없이 장점만 나열된 것일 겁니다. 저도 개원하면 그렇게 될지도 모르겠지만.... 일단은 아직은 치대생이니만큼 최대한 객관적인 시선으로 글을 남겨보려 합니다. 완전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 엄청 파고드는게 아니라(이런 전문적인거는 올려도 읽을 사람이 없죠...) 간단한 주제로 여러분이 흥미있어 할 만한 주제들을 선정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주제는 "아말감 vs 레진" 이라는 것인데요, 이것을 다루려면 끝도 없죠. 그래서 Class I Cavity 에 대해서만 다루려고 합니다. 따라서 그동안 바빠 블로그 새 글을 못올리다가 본과 4학년이 되니 병원 나가느라 생활 후기 올릴만한건 별로..
치과대학 치대 치대생 본과 본2 1학기 구강 병리 병리학 1. Congenital epulis Congenital epulis 의 특징은 안쪽의 기질을 막이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라는 점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왼쪽에 분홍색으로 보이는 것이 막으로, 막은 온정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계란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Epulis fissuratum Epulis fissuratum 을 보는 기준은 막입니다. 웬만하면 막의 rete peg 부분 인근에는 염증세포가 존재하지 않죠. 그러나 Epulis fissuratum 의 막 근처에는 염증세포가 매우 많이 존재합니다. 염증세포가 도대체 뭐냐고 하실 분이 계실텐데요, 염증세포는 보라색의 점점입니다. 3. Dilantin Gingival hyperplasia 간..
치과대학 치대 치대생 본과 본2 1학기 구강 병리 병리학 일반 병리를 넘어서... 오늘은 구강 병리 슬라이드 공부 시간입니다. 1. Ameloblastoma Ameloblastoma는 follicle formation type, plexiform type, acanthoma type, basal cell type, granular cell type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ㅠㅠ Ameloblastoma를 익히는 방법은 눈으로 최대한 많은 사진들을 보는 것입니다. 제 사진들 뿐만 아니라 구글링을 통해서 많은 사진들을 접해보세요. 2. Ameloblastic Fibroma Ameloblastic Fibroma는 Ameloblastoma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저 가운데 보라색이 보이시나요? 이것의 특..
치과대학 치대 치대생 본과 본1 2학기 병리 병리학 매번 서론이 나타나네요^^ 본 포스트에 사용되는 현미경 사진은 전부 제가 촬영한 것이므로, 무단 도용을 금합니다. 15. Emphysema, lung 폐기종 폐기종과 갑상선종(http://masseter.tistory.com/8)을 헷갈리지 마시라고 당부하고 싶습니다. 얼핏보면 갑상선종도 비슷한 모양이 있긴 합니다. 1-그러나 폐기종이 훨씬 깨진 것 같은 울타리 모양의 넓이가 넓습니다. 2- 게다가 갑상선종에서는 RBC가 관찰되지 않죠. 이 차이점을 염두해두세요. 16. Chronic ulcerative colitis 만성 궤양성 대장염 이것도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얌체로 일단 슬라이드 모양이 길쭉합니다. 즉, 약 직사각형 모양이란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