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 마세터의 치과병원 생활기
구강 병리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첫번째 본문
치과대학 치대 치대생 본과 본2 1학기 구강 병리 병리학
일반 병리를 넘어서... 오늘은 구강 병리 슬라이드 공부 시간입니다.
1. Ameloblastoma
Ameloblastoma는 follicle formation type, plexiform type, acanthoma type, basal cell type, granular cell type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ㅠㅠ
Ameloblastoma를 익히는 방법은 눈으로 최대한 많은 사진들을 보는 것입니다.
제 사진들 뿐만 아니라 구글링을 통해서 많은 사진들을 접해보세요.
2. Ameloblastic Fibroma
Ameloblastic Fibroma는 Ameloblastoma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저 가운데 보라색이 보이시나요?
이것의 특징은 Fibrous한 곳이 한 뭉테기를 이루면서 군데군데 퍼져있고,
그것을 중심으로 diffuse한 모습을 보인다는 점입니다.
제 사진에서는 fibrous한 부분이 한 군데 밖에 없지만 다른 사진들을 보면 이런 뭉테기를 이루는 원형 비슷한 느낌이 군데 군데 퍼져서 diffuse한 부분으로부터 둘러싸여 있는 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3. Cellulitis
한국말로 봉와직염, 이것만큼 쉬운게 없죠.
Cellulitis의 특징은 근육이 보이고 구멍이 송송송 뚫려있다는 점입니다. 붉은 색의 피도 보이고요.
근육 보이고 구멍 송송송 하면, 바로 Cellulitis!
4. Cementifying Fibroma, Cemento ossifying fibroma
지금 설명하는 Cementifying fibroma 와 아래그림의 Cemento ossifying fibroma가 좀 헷갈릴겁니다.
구분하는 방법은,
Cementifying fibroma : 특징적이게 중앙에 옅게 하얗게 칠해져 있는 타원형의 모양
Cemento ossifying fibroma : 구름처럼 기존의 조직 위에 뭔가 막 흩뿌린 느낌
을 특징으로 삼으시면 되겠습니다.
Cementifying Fibroma
Cemento - ossifying fibroma
5. Cementoblastoma
딱 봐도 전체 큰 틀이 기존에 보면 모양과는 다르죠?
염증세포나 다른 세포들 안보이고 Cementum만 보이네요. 거기에 Cementocyte도 있고요.
작게 구멍뚫려 있는 것이 Cementocyte 입니다. Osteocyte가 생긴 원리와 비슷한 원리로 생겼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어쩄든 Cementoblastoma의 특징은 일단 기본 바탕이 Cementum에 거기에 큰 구멍이 뚫려있는 것입니다.
6. Chondrosarcoma
연골에 생기는 육종이죠.
이게 참 연골과 뼈의 차이를 설명하기가 애매한데요,
뼈와 연골 둘 다 마찬가지로 기질에 세포들이 없습니다.
단지 기질만 존재할 뿐. 다만
뼈는, 확실히 현미경 상으로 뚜렷하고 투명한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연골은 막처럼 뭔가 불투명합니다.
이것을 특징으로 연골이란 것을 간파하고,
숭숭숭 뚫린 구멍 안에 세포가 존재하는 것이 보이면 Chondrosarcoma입니다.
7. Exostosis
외골증입니다. Torus Mandibularis 같은 것이죠.
Cementoblastoma 랑 헷갈릴 수 있습니다만은, Exostosis는 중간 중간 하얀 선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본과 > 병리 슬라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 병리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두번째 (0) | 2016.06.26 |
---|---|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세번째 (0) | 2016.03.01 |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공부 두번째 (0) | 2016.02.29 |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탐구 첫번째 (0) | 2016.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