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 마세터의 치과병원 생활기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공부 두번째 본문
치과대학 치대 치대생 본과 본1 2학기
시작하기에 앞서 지난 포스트에서 밝히지 못한 것을 적습니다.
저는 병리학 교수가 아닌 일개 학생일 뿐이며,
제가 이 슬라이드를 설명하는 것은 여러분을 병리학자로 만들기 위함이 아닌 병리 시험을 잘 보기 위한 것입니다.
즉 좋게 말하면 요령 나쁘게 말하면 꼼수죠.
따라서 눈에 불을 켜고 보기보다는 아 이런 팁이 있구나 하는 정도로 가볍게 보시면 시험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예상합니다.
7. Adenocarcinoma, stomach 선암 x100
이 선암은 꽤 어려운 편에 속합니다.
그렇게 크게 도드라지는 특징이 없기 때문이죠.
다만 사진 아랫부분에 동글동글한 Alveolar pattern이 보이는 것을 특징이라면 특징으로 들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아래에서 보시죠.
7-1.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tated, Rectum 선암 x400
다른 부위의 선암을 고배율로 확대한 사진입니다.
어떤가요? 아까는 볼 수 없었던 특징이 눈에 띄시나요? Alveolar pattern 이 단순히 동그란 것이 아니라
매우 기다란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마치 아메바 같은 모양을 띄고 있네요. 그리고 그 가쪽 부분은 텅텅 비어있는 작은 동그라미가 있고요.
즉, 시험은 고배율로 나올텐데요, 기다란 모양의 가쪽 빈 공간의 동그라미를 기억하세요.
8. Fibroadenoma 섬유종
섬유종은 아래 그림처럼 점점점이 박혀있는 바탕에 불규칙한 모양의 구멍이 뚫려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섬유종은 다른 것들과는 확연히 모양이 아래와 같이 다르므로 구분이 쉽게 가능합니다.
9. Tonsilitis, lingual tonsil 편도염
편도염은 바로 아래의 사진에선 특징이 잘 보이지 않고요,(그래도 일단 한번 보세요.)
두번째 아래 사진을 봅시다.
빨갛게 제가 표시해 놓은 부분, 안쪽에 여타 부위보다는 색이 좀 옅은 물방울 모양의 부위가 보이시나요?
이것을 Germinal center라고 하는데요, 편도염에서는 이것을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0. Appendicitis, appendix 충수염
어! 충수염 안쪽에 아까 선암에서 본 것이랑 비슷한게 보여요!
맞아요. 얼핏보면 매우 비슷하죠. 하지만 모양을 잘 구별해야 합니다.
선암은 그것의 모양이 더 길쭉길쭉하지만 충수염에서는 뚱뚱하고 둔해보입니다. 안쪽 공간도 더 좁고요.
11. Polyp, intestine 용종
폴립은 저배율로 보실텐데요,(고배율로 보면 특징이 없습니다)
저런 귀여운 선인장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죠.
가쪽은 동그라미가 있으며 안쪽은 비어있습니다. 물론 완전히 비어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요.
그리고 모양이 불규칙합니다.
폴립은 쉬운만큼 시험에도 자주 나옵니다. 딱 보면 이게 폴립이라는 걸 알 수 있도록 사진 여러개를 봅시다.
12. Pneumonia, lung 폐렴
폐렴은 병리학자들은 구분 할 수 있지만 우리 학생들은 구분하기가 힘들거라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더군요.
보시다시피 큰 특징은 없습니다.
다만 저배율로 관찰했을 때 항상 피가 보인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피? 아랫쪽 빨간 것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페렴에서는 항상 세포단위가 아닌 보다 큰 붉은 부위가 관찰됩니다.
13. Neurofibroma, skin 신경섬유종
이건 정말 쉽습니다.
밑 사진의 갈색부분 보이시나요?
이것은 Melanin pigmentation으로, 즉 색소입니다.
저런 갈색의 멜라닌 색소가 보인다 하면 신경섬유종입니다.
14. Rhabdomyosarcoma, muscle 횡문근육종
이것도 매우 난이도가 높습니다.
구분하기가 힘드므로 제가 설명을 드리기보다는 자신만 알 수 있는 특징을 기억해 가시길 바랍니다.
'본과 > 병리 슬라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 병리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두번째 (0) | 2016.06.26 |
---|---|
구강 병리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첫번째 (0) | 2016.06.26 |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세번째 (0) | 2016.03.01 |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탐구 첫번째 (0) | 2016.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