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 마세터의 치과병원 생활기
구강 병리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두번째 본문
치과대학 치대 치대생 본과 본2 1학기 구강 병리 병리학
1. Congenital epulis
Congenital epulis 의 특징은 안쪽의 기질을 막이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라는 점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왼쪽에 분홍색으로 보이는 것이 막으로, 막은 온정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계란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Epulis fissuratum
Epulis fissuratum 을 보는 기준은 막입니다.
웬만하면 막의 rete peg 부분 인근에는 염증세포가 존재하지 않죠.
그러나 Epulis fissuratum 의 막 근처에는 염증세포가 매우 많이 존재합니다.
염증세포가 도대체 뭐냐고 하실 분이 계실텐데요, 염증세포는 보라색의 점점입니다.
3. Dilantin Gingival hyperplasia
간질약인 Dilantin을 사용하면 약물성 치은비대증이 일어납니다.
그것을 조직학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죠.
아래 사진의 오른쪽 위가 막입니다.
막의 Rete peg가 매우 길어진게 관찰되시나요?
바로 위의 epulis fissuratum의 길이와 비교해본다면 그 차이는 명확합니다.
일단 rete peg가 길어져 있다 하시면 gingival hyperplasia를 의심해 보는게 좋습니다.
4. Gingival hyperplasia with sclerotic change
다른 종류의 치은비대증입니다.
이것도 rete peg가 다른 것들에 비해서는 길어져 있습니다만은 그것만으론 특징짓기 힘듭니다.
막 안쪽으로 분홍색의 긴 휘어진 막대기 모양이 보이시나요? 바로 Fibrous 한 부분인데요, 그것이 특징입니다.
조금 길어진 rete peg와 그 안쪽의 fibroblast!
5. Fibroma
예... Fibroma는 딱히 설명할 말이 없습니다.
워낙 모양이 변화무쌍하고, 섬유화된 부분이 있다는 어설픈 설명밖에 할 수 가 없네요...
구글링을 통해 많은 사진들을 보세요.
다만 맨 마지막 사진인 irritation Fibroma는 특징이 있습니다.
Fibrous한 부분도 부분이지만 푸른색도 함께 관찰된다는 점!
다른 Fibroma와는 달리 매우 특징적이므로 기억하기 쉽습니다.
Irritation Fibroma
6. Florid Cemento Osseous dysplasia
FOD라고 간단히 줄여서 부르는데요, 시험에 쓰실 땐 당연히 풀네임으로 쓰셔야 하고요...
모양이 말입니다. Cementoblastoma 와 같은 바탕을 지니고 있죠?
거기에 구멍은 없고, 보라색의 얼룩이 있는 것으로 기억하십시오.
7. Calcifying odontogenic cyst
일명 COC, 그리고 gorlin cyst 라고 불리는 녀석입니다.
이것은 꽃모양을 기억해주세요.
가운데 부분에 마치 장미꽃 모양같이 꽃잎들이 여러겹 둘러싸고 있는 듯한 모습이 연상되시나요?
그런 것들이 존재하면 gorlin cyst입니다.
'본과 > 병리 슬라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 병리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첫번째 (0) | 2016.06.26 |
---|---|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대비 세번째 (0) | 2016.03.01 |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공부 두번째 (0) | 2016.02.29 |
병리학 슬라이드 땡시 집중탐구 첫번째 (0) | 2016.02.25 |